맨위로가기

메트로폴리스 (2001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트로폴리스 (2001년 영화)는 2001년에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로, 프리츠 랑의 1927년 영화와 테즈카 오사무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다. 디스토피아적 도시 메트로폴리스를 배경으로, 인간과 로봇의 갈등, 계급 사회의 문제점, 정체성 탐구 등을 다룬다. 영화는 듀크 레드가 지배하는 메트로폴리스에서 탐정 반 슌사쿠와 조카 켄이치가 로봇 티마를 만나 겪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켄이치는 티마와의 교감을 통해 인간성을 배우지만, 티마는 로봇으로서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면서 갈등을 겪고, 결국 로봇 혁명이 일어난다. 영화는 뛰어난 작화와 깊이 있는 주제로 호평을 받았으며, 로봇 인권, 기술 발전의 윤리적 문제 등 사회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토모 가쓰히로 각본 영화 - 아키라 (영화)
    아키라는 1988년에 개봉한 오토모 가츠히로의 동명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로, 2019년 네오 도쿄를 배경으로 폭주족 카네다와 테츠오가 정부의 비밀 실험과 초능력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다루며, 사이버펑크 장르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 린 타로 감독 영화 - 은하철도 999 (영화)
    은하철도 999는 1979년에 개봉한 마쓰모토 레이지의 만화 및 TV 애니메이션을 원작으로, 기계화와 인간성에 대한 고뇌를 다룬 애니메이션 영화로, 흥행과 함께 일본 아카데미상 영화 부문 인기상을 수상했다.
  • 린 타로 감독 영화 - X (만화)
    CLAMP의 만화 《X》는 1999년 도쿄를 배경으로 인류의 생존을 옹호하는 천룡과 멸망을 꾀하는 지룡의 갈등 속에서 주인공 시로 카무이의 선택과 그로 인한 스토리를 그리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와 사회적 메시지로 인지도를 얻었으나 폭력성과 미완결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소니 픽처스 재팬 애니메이션 영화 - 크리스마스에 기적을 만날 확률
    《크리스마스에 기적을 만날 확률》은 곤 사토시 감독의 2003년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로, 도쿄를 배경으로 노숙자 3인조가 크리스마스에 버려진 아기를 발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속에서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은 인물들이 가족애를 형성하고 잃어버린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소니 픽처스 재팬 애니메이션 영화 - 파프리카 (2006년 영화)
    파프리카는 곤 사토시 감독의 2006년 애니메이션 영화로, 꿈을 공유하는 기기 DC 미니가 도난당하면서 꿈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사건을 다루며, 기술 발전과 윤리,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한다.
메트로폴리스 (2001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트로폴리스 극장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작메트로폴리스 (데즈카 오사무)
감독린타로
제작마사오 마루야마
이와오 야마키
각본오토모 가쓰히로
음악혼다 도시유키
촬영야마구치 히토시
제작사매드하우스
배급사도호
개봉일2001년 5월 26일
상영 시간113분
제작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제작비¥15억
흥행 수입¥1억 (일본)
US$4백만 (전 세계)
출연
주요 출연진유카 이모토
고바야시 게이
도미타 고세이
와카모토 노리오
다키구치 준페이
이케다 마사루
하시 다카야
후루카와 도시오
지바 시게루
에바라 마사시
아오노 다케시
야시로 슌
이노우에 노리히로
오카다 고키
이시다 타로

2. 역사적 배경 및 원작

이 영화는 테즈카 오사무의 1949년 동명 만화 메트로폴리스프리츠 랑 감독의 1927년 무성 영화 메트로폴리스라는 두 가지 주요 원작에 뿌리를 두고 있다.

테즈카 오사무는 자신의 만화가 프리츠 랑의 영화 포스터와 여성 로봇이 탄생하는 장면의 스틸컷 한 장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으나, 영화 자체를 직접 보지는 못했다고 한다.[2] 테즈카의 원작 만화는 인공 휴머노이드 '미치'(ミッチイ|미치일본어)가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혼란에 빠지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1][3]

2001년 애니메이션 영화는 테즈카 오사무 만화의 기본적인 캐릭터 설정과 이야기 구조를 가져오면서도, 프리츠 랑 영화의 시각적 요소와 디스토피아적인 분위기, 사회 계급 간의 갈등이라는 주제를 적극적으로 차용했다.[1] 특히 로봇과 인간 사이의 관계, 기술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 문제 등은 테즈카 오사무의 다른 대표작 철완 아톰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 주제이며, 이 영화에서도 심도 있게 탐구된다. 영화는 원작 만화와는 다른 캐릭터 설정과 스토리 전개를 보여주며, 두 원작의 영향을 독창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3]

2. 1. 테즈카 오사무의 메트로폴리스 (만화)

테즈카 오사무의 1949년 원작 만화 메트로폴리스는 날 수 있고 성별을 바꿀 수 있는 인공 휴머노이드 ミッチイ|미치일본어(Mitchi)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1] 미치는 파괴적인 목적으로 자신을 이용하려는 듀크 레드와 그의 레드 파티에게 쫓긴다. 탐정 반 슌사쿠와 그의 조카 켄이치는 미치의 창조자인 찰스 롤튼 박사가 살해된 후 미치를 발견하고, 그녀의 부모를 찾아주는 동안 보호하게 된다. 만화의 클라이맥스에서 미치가 파괴적으로 폭주하는 이유는 자신이 로봇이기 때문에 부모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이 되기를 갈망했던 2001년 영화 속 티마의 설정과는 차이가 있다.[3]

테즈카 오사무는 이 만화를 그리면서 프리츠 랑의 1927년 영화 ''메트로폴리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으로는 여성 로봇이 탄생하는 영화의 한 장면 스틸컷만을 참고했다고 언급했다.[2]

2001년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는 원작 만화와는 다른 설정을 가지고 있다. 이 영화는 프리츠 랑의 영화 요소를 더 많이 차용했으며[1], 디스토피아적이고 금권주의적인 사회에서의 강한 계급 투쟁과 로봇과 인간 주인 간의 관계라는 주제를 더욱 부각시킨다. 이러한 주제는 테즈카 오사무의 다른 유명 작품 ''철완 아톰''에서도 심도 있게 다루어졌다. 애니메이션 각색에서는 원작 만화의 미치가 가진 비행 능력이나 성별 전환과 같은 요소들을 제외하고, 영구적으로 여성 형태이며 날 수 없는 '티마'라는 캐릭터로 대체했다.[3]

2. 2. 영화와 원작의 차이점

2001년 영화는 프리츠 랑의 1927년 영화 ''메트로폴리스''와 테즈카 오사무의 1949년 만화 ''메트로폴리스'' 모두에서 영향을 받았다. 특히 프리츠 랑 영화의 시각적 요소(세트 디자인 등)와 디스토피아적 사회 설정을 많이 차용했으며[1], 테즈카 오사무 만화에서는 기본적인 인물 설정을 가져왔다. 테즈카 오사무 자신은 프리츠 랑 영화의 한 장면, 즉 여성 로봇이 탄생하는 장면에서만 영감을 얻었다고 밝힌 바 있다.[2]

영화는 원작 만화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 주제: 영화는 프리츠 랑 영화처럼 디스토피아적이고 금권주의적인 사회 내의 강렬한 계급 투쟁을 더 강조한다. 또한, 로봇과 인간 사이의 관계라는 주제를 탐구하는데, 이는 테즈카 오사무의 다른 유명 작품인 ''철완 아톰''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진 주제이다.
  • 미치/티마: 테즈카 오사무의 원작 만화 주인공 '미치(ミッチイ|밋치일본어)'는 하늘을 날 수 있고 성별 전환도 가능한 인공 휴머노이드이다. 만화에서 미치는 자신에게 부모가 없다는 사실(로봇이기 때문)을 깨닫고 파괴적으로 변한다. 반면, 영화의 '티마(ティマ|티마일본어)'는 여성 로봇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날 수 없다. 티마는 인간이 되기를 갈망하며, 자신을 로봇으로 받아들이면서 로봇 혁명을 촉발하게 된다.[3]
  • 켄이치와의 관계: 만화에서 켄이치는 미치를 보호하는 역할이지만, 영화에서는 삼촌 반 슌사쿠의 조수로 등장하며 티마와 훨씬 더 깊은 유대감을 형성한다. 켄이치는 티마가 로봇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그녀를 아끼고 보호하며, 티마 역시 켄이치에게 언어를 배우고 그를 유일한 가족처럼 여기며 사랑하는 모습을 보인다. 켄이치 또한 티마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는 티마를 악의 무기로 만들려는 것을 막고 구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결국 티마가 로봇으로서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면서 그들의 관계는 비극적으로 끝난다.[3]
  • 듀크 레드: 영화 속 듀크 레드는 만화보다 더 잔혹하고 사악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는 자신의 진짜 딸(티마와 이름이 같음)이 죽자 그녀를 본뜬 로봇 티마를 만들지만, 티마를 오직 권력 장악을 위한 도구로만 여길 뿐 어떠한 애정도 보이지 않는다. 양아들인 록에게도 마찬가지로 냉담하며 아들로 인정하지 않는다.
  • 록: 록은 원작 만화에는 등장하지 않는, 영화를 위해 만들어진 캐릭터이다.[4] 영화 작가는 테즈카 오사무의 SF 모험 스타일에 대한 경의를 표하고 이야기에 깊이를 더하기 위해 이 캐릭터를 추가했다고 밝혔다.[7] 록은 인류의 어두운 면과 부정적인 감정을 상징하며, 아버지(듀크 레드)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도구로 취급받는다는 점에서 티마와 유사한 처지에 놓인 인물로 볼 수 있다. 결국 록은 아버지의 몰락에 기여하게 된다.
  • 지구라트: 영화에 등장하는 거대한 건축물 지구라트는 프리츠 랑 영화의 '신 바벨탑'과 테즈카 오사무 만화의 '성당'을 합친 것이다.[5]

3. 줄거리

미래의 금권정치 도시 메트로폴리스는 인간과 로봇 노동자들이 공존하는 곳이지만, 실상은 로봇들이 인간에게 혹사당하고 차별받는 사회이다. 특히 로봇에게 일자리를 빼앗긴 하층민 노동자들은 도시 지하부로 밀려나 로봇에 대한 증오심을 키우고 있었다. 도시의 실질적인 권력자인 듀크 레드는 거대한 군사/과학 복합 단지인 "지구라트"의 완공을 축하한다. 그러나 그의 권력과 로봇 중심 정책에 대한 불만은 도시 전체에 퍼져 있었다.

일본의 사립 탐정 반 슌사쿠(히게오야지)와 그의 조카 켄이치는 장기 밀매와 인권 침해 혐의로 국제 수배된 과학자 로튼 박사를 체포하기 위해 메트로폴리스에 도착한다. 그들은 로튼 박사가 듀크 레드의 지시로, 죽은 딸을 본떠 만든 고도의 안드로이드 '티마'를 비밀리에 제작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듀크 레드는 티마를 지구라트 꼭대기에 설치된 강력한 무기의 제어 장치로 삼아 세계를 정복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

한편, 듀크 레드의 양아들이자 로봇 탄압을 위한 자경단 '마르두크'를 이끄는 록은 티마의 존재를 알게 되고, 아버지의 계획을 막고 티마를 파괴하기 위해 로튼 박사를 살해하고 연구실에 불을 지른다. 불타는 연구실에서 켄이치는 막 활성화된 티마를 발견하고 구출한다. 둘은 하수구를 통해 도망치며 슌사쿠와 헤어지게 되고, 켄이치는 티마가 로봇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그녀를 보호하며 점차 가까워진다. 록과 그의 부하들은 끊임없이 그들을 추적한다.

도피 과정에서 켄이치와 티마는 로봇 노동자들과 함께 듀크 레드에 대항하는 저항 운동 세력과 마주친다. 듀크 레드에게 불만을 품은 대통령과 시장 역시 권력을 잡기 위해 이들과 손을 잡으려 하지만, 레드에게 충성하는 쿠사이 스컹크 장군에 의해 암살당한다. 레드는 이를 빌미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혁명을 무력으로 진압한다. 이후 슌사쿠와 재회한 켄이치와 티마는 록에게 발각되지만, 듀크 레드가 나타나 록을 마르두크에서 해고하고 티마와 켄이치를 지구라트로 데려간다.

아버지의 애정을 되찾고 티마를 제거하려는 록은 다시 티마를 납치하지만, 슌사쿠에게 저지당한다. 슌사쿠는 로튼 박사가 남긴 노트를 통해 티마의 비밀을 알게 되고, 그녀를 지구라트의 메인프레임에 접속시켜 켄이치가 갇혀있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레드와 마르두크는 슌사쿠 일행을 체포하여 지구라트 최상층으로 끌고 가, 티마에게 그녀가 세계 지배를 위한 초병기의 제어 장치임을 밝힌다. 이때 하녀로 변장한 록이 나타나 티마의 가슴을 쏘아 로봇임을 드러내게 하고, 자신도 레드의 부하들에게 총을 맞는다.

자신이 로봇이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은 티마는 폭주하여 왕좌와 결합하고, 전 세계 로봇들에게 인간 말살 명령을 내린다. 메트로폴리스 전역의 로봇들이 반란을 일으켜 지구라트를 공격하는 혼란 속에서, 켄이치는 필사적으로 티마를 설득하려 한다. 티마는 잠시 켄이치를 알아보는 듯하지만, 여전히 적대적인 프로그램에 사로잡혀 그를 공격하려 한다. 그 순간, 록은 초무기를 과부하시켜 자신과 듀크 레드를 희생시키며 폭발을 일으킨다. 지구라트는 붕괴하기 시작하고, 티마는 잠시 제정신을 차리지만 결국 추락한다. 켄이치가 그녀의 손을 잡지만, 티마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남기고 폐허 속으로 떨어진다.

사건 이후, 폐허 속에서 켄이치는 로봇들이 티마의 부품을 수습하는 것을 발견한다. 슌사쿠는 메트로폴리스를 떠나지만, 켄이치는 티마를 재건하고 로봇들과 함께 도시를 재건하기 위해 남기로 결심한다.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사진들을 통해, 켄이치가 결국 티마를 재건하고 함께 로봇 작업장을 열었음을 알 수 있다.

4. 등장인물

등장인물일본어 성우영어 더빙 성우
ティマ|티마일본어이모토 유카레베카 포어슈타트[6]
敷島 ケンイチ|시키시마 켄이치일본어코바야시 케이브라이언 시달[6]
ロック|록일본어오카다 히로키마이클 라이즈[6]
レッド公|레드 공일본어이시다 타로재미슨 프라이스[6]
伴俊作|반 슌사쿠일본어토미타 코세이토니 포프
ペロ|페로일본어와카모토 노리오데이브 멜로우
ロートン博士|로턴 박사일본어타키구치 준페이사이먼 프레스콧[6]
ポンコッツ博士|폰코츠 박사일본어아오노 타케시더그 스톤
ブーン大統領|분 대통령일본어이케다 마사루리처드 플랜태저넷[6]
ノタアリン|노타아린일본어야시로 슌윌리엄 프레데릭 나이트
スカンク|스컹크일본어후루카와 토시오댄 워렌
アセチレン・ランプ|아세틸렌 램프일본어치바 시게루스티븐 블룸
ハムエッグ|햄에그일본어에바라 마사시로버트 액설로드
リヨン|리용일본어하시 타카야피터 스펠로스
アトラス|아틀라스일본어이노우에 노리히로스콧 웨인저
フィフィ|피피일본어아이카와 리카코
エンミィ|엔미일본어코야마 마미바바라 굿슨


4. 1. 주요 등장인물


  • 켄이치 (성우: 코바야시 케이)

주인공 소년. 삼촌인 탐정 히게오야지(반 슌사쿠)와 함께 로튼 박사를 체포하기 위해 메트로폴리스에 온다. 테즈카 오사무의 아톰을 닮은 외모를 하고 있다. 우연히 화재가 난 로튼 박사의 실험실에서 티마를 구출하고 함께 행동하게 되면서 그녀를 사랑하게 된다. 여리고 순수하지만 티마를 지키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티마가 로봇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에도 변함없이 그녀를 아끼며, 듀크 레드의 야욕으로부터 티마를 구하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티마에게 인간의 언어와 감정을 가르쳐주며 깊은 유대감을 형성한다. 마지막에는 붕괴된 지구라트 잔해 속에서 티마의 기억 장치를 발견하고, 로봇들과 함께 메트로폴리스 재건을 다짐하며 도시에 남는다.

  • 티마 (성우: 이모토 유카)

히로인. 메트로폴리스의 최고 권력자 듀크 레드가 로튼 박사에게 의뢰하여 만든 로봇 소녀. 듀크 레드의 죽은 딸을 모델로 하여 인간과 거의 구별되지 않는 외모를 지녔다. 듀크 레드는 티마를 지구라트 최상부의 '초인의 방'에 앉혀 세계를 지배하려는 야욕을 가지고 있다. 켄이치와의 만남을 통해 점차 자아를 찾아가고 인간적인 감정을 배우며 그를 깊이 사랑하게 된다. 자신이 로봇이라는 사실을 깨달은 후 충격과 혼란 속에서 로봇들의 혁명을 이끌지만, 켄이치의 외침과 록의 행동으로 폭주에서 벗어난다. 마지막에는 지구라트 붕괴 시 추락하며 켄이치의 이름을 부른다. 원작 만화의 양성 휴머노이드 '미치'에 해당하는 캐릭터이지만, 영화에서는 여성 로봇으로 설정되었다.[3]

  • 듀크 레드 (성우: 이시다 타로)

메트로폴리스의 강력한 지배자이자 배후 실력자. 거대한 지구라트를 건설하고, 이를 이용해 세계 정복을 꿈꾸는 냉혹한 인물이다. 로봇을 탄압하기 위한 특수 경찰 조직 '마르두크당'의 설립자이자 후원자이기도 하다. 죽은 딸을 본떠 티마를 만들었지만, 그녀를 자신의 야망을 위한 도구로만 여길 뿐 어떠한 애정도 보이지 않는다. 전쟁 고아인 록을 양자로 삼았으나 그를 아들로 인정하지 않고 도구처럼 대하며, '아버지'라 불리는 것조차 싫어한다. 그의 탐욕과 비정한 행동은 결국 메트로폴리스의 파멸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 (성우: 오카다 히로키)

듀크 레드의 양아들이자 마르두크당의 간부.[20] 전쟁 고아 출신으로, 듀크 레드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며 그에게 광신적으로 충성한다. 로봇을 극도로 증오하며, 듀크 레드의 관심과 애정을 독차지하는 듯 보이는 티마에게 강한 질투심을 느껴 그녀를 파괴하려 집요하게 추적한다. 듀크 레드를 향한 충성심과 티마에 대한 증오 사이에서 갈등하며 극단적인 행동을 보인다. 원작 만화에는 등장하지 않는 영화 오리지널 캐릭터로, 인류의 어두운 면과 부정적인 감정을 상징한다.[7] 마지막 순간, 폭주하는 티마를 막고 듀크 레드를 지키려다 오모테니움 발생 장치를 폭파시켜 지구라트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다.

  • 히게오야지 (성우: 토미타 코세이)

본명은 반 슌사쿠. 일본에서 온 사립 탐정이자 켄이치의 삼촌이다. 인조인간 제조 혐의로 국제 수배된 로튼 박사를 추적하기 위해 켄이치와 함께 메트로폴리스를 방문한다. 정의감이 강하고 인정 많은 성격으로, 켄이치와 티마를 돕는다.
메트로폴리스 경찰 소속의 로봇 형사 (정식 명칭: 803-D,R-P,D.M.497-3-C). 인간 용의자에 대한 체포 권한은 없다. 히게오야지가 붙여준 애칭 '페로'로 불린다. 히게오야지의 수사를 도우며 켄이치 일행과 동행하지만, 아틀라스가 이끄는 혁명 과정에서 파괴된다.

  • 로튼 박사 (성우: 타키구치 준페이)

인체 실험, 장기 밀매 등으로 국제 수배된 과학자. 듀크 레드의 의뢰를 받아 그의 죽은 딸을 모델로 티마를 제작했다. 영화 초반, 자신의 비밀 연구소를 습격한 록에게 총격을 당해 치명상을 입고, 히게오야지에게 연구 노트를 넘긴 뒤 사망한다.

4. 2. 조연 등장인물


  • '''히게오야지''' (반 슌사쿠) (성우: 토미타 코세이)
  • : 켄이치의 삼촌이자 일본에서 온 사립 탐정. 본명은 반 슌사쿠이다. 국제 수배 중인 로튼 박사를 체포하기 위해 켄이치와 함께 메트로폴리스를 방문한다. 로봇 형사 페로와 협력하며 사건을 조사하고, 록의 음모를 파헤치려 노력한다. 로튼 박사에게서 그의 연구 노트를 넘겨받는다. 마지막에는 메트로폴리스에 남기로 한 켄이치와 헤어진다.

  • '''페로''' (성우: 와카모토 노리오)
  • : 메트로폴리스 경찰 소속의 로봇 형사. 정식 명칭은 "803-D,R-P,D.M.497-3-C"로, 인간에 대한 체포 권한은 없다. 히게오야지가 '페로'라는 애칭을 붙여주었다. 히게오야지 일행을 도와 로튼 박사를 추적하고 사건 해결에 기여한다. 인간과 로봇 간의 갈등 속에서 벌어진 혁명 과정에서 아틀라스에게 해산을 권유받지만 결국 파괴된다.

  • '''로튼 박사''' (성우: 타키구치 준페이)
  • : 인체 실험이나 장기 밀매 혐의로 국제 수배 중인 과학자. 메트로폴리스 지하에 숨어 레드 공의 의뢰로 그의 죽은 딸을 모델로 한 로봇 티마를 제작했다. 그러나 자신의 창조물인 티마를 이용하려는 레드 공의 계획에 회의를 느낀다. 영화 초반, 비밀 연구소를 급습한 록에게 총격을 당해 치명상을 입고, 자신을 구하러 온 히게오야지에게 티마에 대한 정보가 담긴 연구 노트를 맡기고 사망한다.

  • '''폰코츠 박사''' (성우: 아오노 타케시)
  • : 레드 공 밑에서 일하는 과학자. 세계 지배를 위한 무기인 오모테니움 발생 장치를 개발했다.

  • '''분 대통령''' (성우: 이케다 마사루)
  • : 메트로폴리스의 대통령이지만 실권은 레드 공에게 밀리고 있다. 레드 공의 영향력을 못마땅하게 여겨 그를 실각시키기 위해 아틀라스가 이끄는 하층민들을 선동하여 폭동을 일으키려 한다. 하지만 심복인 스컹크 국무장관에게 배신당하여 레드 공에게 숙청된다.

  • '''노타아린''' (성우: 야시로 슌)
  • : 메트로폴리스 경시청의 경시총감. 수사 협조를 요청하러 온 히게오야지에게 로봇 형사 페로를 보좌역으로 붙여준다. 이후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지만 해임된다.

  • '''스컹크''' (성우: 후루카와 토시오)
  • : 군을 총괄하는 메트로폴리스의 국무장관[21]이자 분 대통령의 심복이다. 분 대통령으로부터 레드 공 체포를 위한 군 출동 명령을 받지만, 이 사실을 레드 공에게 밀고하여 오히려 분 대통령을 배신하고 숙청하는 데 가담한다.

  • '''램프''' (성우: 치바 시게루)
  • : 메트로폴리스의 첩보성 장관이자 분 대통령의 심복. 아틀라스에게 반 레드 공 및 반 로봇 혁명을 제안하며 무기를 지원한다. 그러나 스컹크의 배신으로 인해 분 대통령과 함께 사살당한다.

  • '''햄에그''' (성우: 에하라 마사시)
  • : 메트로폴리스 지하 구역(ZONE)의 관리 책임자. 록을 지하 구역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티마를 파괴하려는 록을 제지하려다 그의 총에 맞아 사망한다.

  • '''리용''' (성우: 하시 타카야)
  • : 메트로폴리스의 시장. 지구라트 완성 기념식에 초대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 '''아틀라스''' (성우: 이노우에 노리히로)
  • : 도시 하층부 ZONE-1 슬럼가에 거주하는 실업자들의 지도자.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대변하며, 로봇에 대한 증오심을 바탕으로 반 로봇 혁명을 일으킨다. 분 대통령 측의 지원을 받았으나, 결국 군대와 마르두크 당에 의해 혁명은 진압되고 실패로 끝난다. 혁명 진압 후, 켄이치 일행 앞에서 무력하게 쓰러진다.

  • '''엔미''' (성우: 코야마 마미)
  • : 레드 공을 섬기는 메이드 로봇. 록에게 매수되어 티마를 레드 공의 저택 밖으로 유인하여 록과 만나게 한다.

5. 사회적 배경 및 주제

2001년에 제작된 애니메이션 영화 《메트로폴리스》는 테즈카 오사무의 초기 만화 ''메트로폴리스''를 원작으로 하지만, 프리츠 랑 감독의 1927년 무성 영화 ''메트로폴리스''의 영향 또한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1] 테즈카 오사무 자신은 원작 만화를 구상할 당시 프리츠 랑 영화의 스틸 사진 한 장(여성 로봇이 탄생하는 장면)에서만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2]

영화는 원작 만화의 설정을 상당 부분 변경했다. 원작의 주인공인 인공 휴머노이드 '미치'는 하늘을 날고 성별 전환까지 가능한 존재였으나, 영화에서는 영구적인 여성형 로봇 '티마'로 바뀌었으며 비행 능력도 없다. 또한, 원작에서 미치가 파괴적으로 변하는 계기는 자신이 로봇이라 부모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지만, 영화 속 티마는 인간과 로봇 사이의 정체성 혼란과 자신을 병기로 이용하려는 세력에 의해 로봇 혁명을 촉발하는 존재로 그려진다.[3] 티마와 소년 켄이치의 관계는 영화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뤄지며, 서로 깊이 교감하는 모습을 보인다. 켄이치는 티마가 로봇임을 알게 된 후에도 그녀를 구하려 애쓴다.[3]

2001년 영화는 프리츠 랑 영화의 시각적 요소와 주제 의식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디스토피아적이고 금권주의적인 사회에서 벌어지는 극심한 계급 갈등을 주요 배경으로 삼는다. 이는 인간과 로봇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으며, 로봇 노동력에 대한 착취와 그로 인한 인간 노동자들의 반감, 그리고 로봇의 권리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주제는 테즈카 오사무의 다른 대표작 ''철완 아톰''에서도 탐구되었던 것이다.

영화의 주요 악역인 듀크 레드는 권력욕에 사로잡힌 냉혹한 지배자로, 죽은 딸을 본떠 만든 로봇 티마를 강력한 병기의 제어 장치로 이용하려 한다. 그의 양아들 은 원작 만화에는 없던 영화 오리지널 캐릭터로[4], 듀크 레드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로봇을 증오하며 티마를 파괴하려 한다.[7] 록은 인류의 어두운 면과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된 인물이며[7], 아버지에게 도구 취급당하는 티마의 이야기와 대칭을 이루며 결국 듀크 레드의 몰락에 기여한다.[7]

영화의 상징적인 건축물인 지구라트는 프리츠 랑 영화의 '신 바벨탑'과 원작 만화의 '성당' 이미지를 결합한 것으로[5], 인간의 오만함과 계급 사회의 모순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장치이다. 이처럼 영화 《메트로폴리스》는 원작 만화와 프리츠 랑 영화의 요소들을 융합하여, 기술 발전 속에서 심화되는 사회적 갈등과 인간성의 의미,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복합적인 주제를 탐구한다.

5. 1. 계급 갈등과 로봇 인권

부유한 금권정치 도시 메트로폴리스에서는 인간과, 도시 건설 및 유지를 위해 설계된 로봇 노동자들이 공존하는 것처럼 보인다.[4][5] 그러나 그 이면에는 심각한 계급 갈등과 로봇에 대한 차별이 만연해 있다. 로봇들은 인간에게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하층 계급으로 취급받으며 혹사당하고 있다.[5]

한편, 인간 사회 내부에서도 갈등이 존재한다. 많은 가난한 인간 시민들과 노동자들은 로봇에게 일자리를 빼앗겼다고 생각하며, 이를 이유로 로봇을 차별하고 증오한다.[4][5] 이들은 메트로폴리스의 화려한 지상부와 대비되는 어둡고 초라한 지하 구역(ZONE)으로 밀려나 슬럼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4][5][6]

이러한 로봇에 대한 적대감과 차별은 도시의 실권자 레드 공이 설립하고 지원하는 자경단적 정치 결사인 마르두크 당을 통해 극명하게 드러난다.[6] 마르두크 당은 로봇이 인간이 설정한 구역이나 역할을 벗어나거나 통제를 벗어났다고 판단될 경우, 주변 피해를 아랑곳하지 않고 무력을 사용하여 로봇을 파괴한다.[4][6] 이러한 폭력적인 활동은 로봇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공포의 대상이 된다.[6]

그러나 모든 인간이 로봇을 적대하는 것은 아니다. 신토의 영향으로 무생물에게도 영혼(가미)이 깃들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이 존재하며[4], 주인공 시키시마 켄이치나 탐정 반 슌사쿠처럼 로봇에게 연민과 동정심을 느끼는 인물들도 있다.[4] 또한, 사회 내에는 로봇에게 인간과 동등한 인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단체들도 활동하고 있어[5], 인간과 로봇의 공존 방식 및 로봇의 권리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복잡한 사회 구조와 계층 간, 종족 간 갈등은 영화의 핵심적인 배경을 이룬다.

5. 2. 기술 발전과 윤리적 문제

영화 《메트로폴리스》는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미래 도시를 배경으로, 급격한 기술 발전이 야기할 수 있는 복잡한 윤리적 문제들을 심도 깊게 탐구한다. 영화 속 메트로폴리스는 표면적으로는 번영한 도시이지만, 그 이면에는 로봇에 대한 인간의 차별과 착취, 그리고 로봇으로 인한 인간 실업 문제가 만연한 갈등의 공간으로 그려진다.

영화의 핵심 갈등은 도시의 실질적인 지배자인 듀크 레드가 자신의 야망을 위해 기술을 남용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는 죽은 딸의 모습을 본뜬 고도로 발달한 안드로이드 티마의 제작을 라우턴 박사에게 의뢰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개인적인 슬픔의 발로가 아니라, 티마를 자신이 건설한 거대 구조물 지구라트 내부에 숨겨진 강력한 병기, 오모테니움 발생 장치의 중앙 제어 장치로 삼아 세계를 정복하려는 비윤리적인 계획의 일부였다. 이는 과학 기술이 소수의 권력자에 의해 어떻게 위험하게 악용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반면, 주인공 켄이치와 티마의 관계는 기술과 인간의 긍정적인 교감 가능성을 제시한다. 켄이치는 티마가 로봇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그녀를 보호하고, 이 과정에서 티마는 점차 인간적인 감정과 자아를 발달시킨다. 이는 인공지능을 가진 존재와의 관계 맺음, 그리고 그 존재의 권리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러나 티마가 자신의 정체성, 즉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도구이자 병기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이야기는 비극으로 치닫는다. 듀크 레드의 아들 에 의해 강제로 진실을 마주한 티마는 극심한 정신적 혼란을 겪고, 내재된 파괴적인 프로그래밍이 발현되어 인류 전체를 말살하려 한다. 이는 고도로 발달한 인공지능이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파괴적인 결과와 함께, 자아를 가진 존재를 도구로 취급했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티마가 마지막 순간 던지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기술 발전이 인간에게 던지는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한다.

결국 듀크 레드의 야욕과 기술 남용, 록의 증오와 폭력성, 그리고 티마의 폭주는 메트로폴리스의 파괴라는 파국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영화는 기술 자체의 선악보다는 그것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인간의 책임과 윤리 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한다. 비록 결말에서 켄이치가 티마를 복원하려는 노력을 통해 기술과의 공존에 대한 희미한 희망을 보여주지만, 영화 전반에 걸쳐 제기된 기술 발전의 윤리적 문제들은 관객들에게 깊은 고민거리를 남긴다.

5. 3. 정체성 탐구

안드로이드 소녀 티마는 처음에는 자신이 로봇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켄이치와 교류하며 인간적인 감정을 키워나간다. 켄이치 역시 티마를 인간 소녀로 여기며 보호하고 가까워진다. 하지만 레드 공의 양아들이자 로봇 탄압 조직 마르두크의 간부인 록은 티마의 존재를 위협으로 간주하고 집요하게 그녀를 파괴하려 한다.

록은 티마를 납치하여 그녀가 로봇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폭로하려 시도하며, 결국 지구라트 최상층에서 티마에게 총을 쏘아 그녀의 내부 회로를 드러낸다. 자신이 인간이 아닌, 레드 공의 야욕을 위한 도구로 만들어진 로봇이라는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한 티마는 극심한 정신적 혼란에 빠진다. 이 충격으로 티마는 내재된 파괴적인 군사 프로그램에 지배당하게 된다.

스스로 왕좌와 통합한 티마는 메트로폴리스의 모든 로봇을 통제하며 인간에 대한 복수를 선언하고 파괴를 명령한다. 켄이치는 필사적으로 티마를 설득하고 왕좌에서 분리시키지만, 혼란 속의 티마는 켄이치마저 알아보지 못하고 공격하려 든다. 지구라트가 붕괴하며 추락하는 마지막 순간, 티마는 켄이치에 대한 기억을 되찾고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사라진다.

티마의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로봇의 정체성 문제를 넘어, 인간과 기계의 경계는 무엇인지, 나아가 한 존재의 가치와 의미는 어떻게 규정되는지에 대한 깊은 철학적 질문을 관객에게 던진다.

6. 제작 과정

데즈카 오사무프리츠 랑의 1927년 독일 무성 영화 메트로폴리스에서 영감을 얻어 원작 만화를 그렸지만, 실제 영화를 본 적은 없었다. 원작 만화와 랑의 영화는 줄거리 요소를 공유하지 않지만, 2001년 제작된 이 영화는 랑의 영화에서 더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줄거리 요소를 통합했다.

과거 무시 프로덕션 시절, 하야시가 데즈카에게 만화를 바탕으로 한 장편 영화 제작 의향을 물었으나, 데즈카는 즉시 거절한 바 있다.[7] 하지만 이후 린타로 감독 주도로 영화화가 추진되었다.

영화 제작에는 총 5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7] 초기 제작 예산은 150억으로, 당시 미화 약 900만 달러에 해당하며 오토모 가츠히로의 ''아키라''(1988)를 넘어 당시까지 가장 비싼 애니메이션 영화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이후 오토모의 ''스팀보이''(2004)에 의해 경신되었다.[8] 최종적으로 투입된 총 제작비는 100억이며, 총 작화 매수는 15만 매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18] 흥행 수입은 7.5억를 기록했다.[18]

린타로 감독은 캐릭터 디자인데즈카 오사무의 초기 그림체를 의식적으로 반영하면서도[19], "데즈카라면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가졌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3DCG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적인 영상미를 구현하고자 했다.[19] 각본은 오토모 가츠히로가 담당했으며,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 감독은 나구라 야스히로가 맡았다. 미술 감독은 히라타 슈이치가 담당했다.

또한, 성우로서 야나세 타카시나 나가이 고 등 데즈카 오사무와 생전에 친분이 있던 만화가들이 우정 출연하기도 했다.

7. 평가

''메트로폴리스''는 비평가들로부터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6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평점 7.30/10, 신선도 지수 87%를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들은 "놀라운 기술적 성과이며, 메트로폴리스의 눈부신 시각 효과는 상대적으로 평범한 스토리를 충분히 보완한다"고 총평했다.[13][14][15] 메타크리틱에서는 16명의 비평가 평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75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부여받았다.[16]

미국의 저명한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시카고 선타임스''에 기고한 리뷰에서 ''메트로폴리스''에 4점 만점에 4점을 주며 "내가 본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17] 그는 이 작품이 애니메이션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이전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수준의 치밀한 작화 품질을 높이 샀다.[23] 예를 들어, 탐정이 노트를 읽는 장면에서 넘긴 페이지가 다시 뒤로 넘어가는 것을 보고 다시 넘기는 섬세한 묘사에 감탄했으며, 역 안의 전차가 호텔로 사용되는 설정의 기발함도 칭찬했다. 또한 영화의 주제에 대해서는 스티븐 스필버그의 『A.I.』와 리들리 스콧의 『블레이드 러너』를 언급하며, "단순한 만화 스토리와는 거리가 멀고, 놀랍도록 심오하다"고 평가했다.[23]

웹사이트 goatdog.com 역시 "역사상 가장 뛰어난 애니메이션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우유 상자에 적힌 영양 성분 표시까지 읽을 수 있을 정도"로 극도로 세밀한 작화 수준을 극찬했다. 특히 마지막 지그라트 붕괴 장면은 스탠리 큐브릭의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배경 그림을 중시하지 않는 서양 애니메이션에서는 보기 힘든 일본 애니메이션만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작품의 주제인 "로봇으로서의 고뇌" 역시 스필버그의 『A.I.』보다 더 지적으로 훌륭하게 그려냈다고 덧붙였다.[24]

영화 감독 제임스 카메론은 이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메트로폴리스』는 CG로 만들어진 영상 세계와 전통적인 캐릭터 애니메이션이 멋지게 융합된,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금자탑이다. 아름답고, 강력하며, 신비롭고, 무엇보다 ''마음''을 가진 작품이다. 이 영상은 보는 사람의 마음에 영원히 남을 것이다. 린타로 감독의 걸작에 축하를 전하고 싶다."[18]

미국 개봉 당시 같은 시기에 개봉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A.I.』와 자주 비교되기도 했다.[22]

참조

[1] 뉴스 FILM REVIEW; Dark Doings Proliferate In a World of Vivid Colors https://www.nytimes.[...] 2002-01-25
[2] 웹사이트 Explanation section on the Metropolis manga section of TezukaOsamu@World http://en.tezuka.co.[...] 2007-06-05
[3] 논문 Stylistic Crossings: Cyberpunk Impulses in Anim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2005
[4] 서적 From Metropolis to Metoroporisu: The Changing Role of the Robot in Japanese and Western Cinema'', in'' Japanese Visual Culture ''by Mark MacWilliams.''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8
[5] 논문 States of Emergency: Urban Space and the Robotic Body in the "Metropolis" Tal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8
[6] 서적 Fictional Presidential Films: A Comprehensive Filmography of Portrayals from 1930 to 2011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1
[7] DVD bonus feature Animax Special- The Making of Metropolis
[8] 서적 図解入門業界研究最新アニメ業界の動向とカラクリがよ〜くわかる本 https://books.google[...] 秀和システム 2017-06
[9] 웹사이트 Metropolis (2002) https://www.boxoffic[...] 2002-08-28
[10] 뉴스 Eureka Entertainment Acquires British & Irish Distribution Rights to Rintaro's Metropolis https://www.fandompo[...] 2016-08-22
[11] 웹사이트 Profile http://tohotowa.co.j[...]
[12] 웹사이트 Robotic Angel https://www.schnittb[...]
[13] 웹사이트 Metropolis (Metoroporisu) https://www.rottento[...]
[14] 웹사이트 Metropolis: DVD Talk Review of the DVD Video https://www.dvdtalk.[...] Dvdtalk.com
[15] 웹사이트 Movie Review - Metropolis - FILM REVIEW; Dark Doings Proliferate In a World of Vivid Colors - NYTimes.com https://www.nytimes.[...] Movies.nytimes.com 2002-01-25
[16] 웹사이트 Metropolis https://www.metacrit[...]
[17] 웹사이트 Metropolis Movie Review & Film Summary https://www.rogerebe[...]
[18] 웹사이트 作品紹介 https://v-storage.jp[...] 2001
[19] 서적 キャラクターランドSPECIAL ウルトラマンオーブ THE ORIGIN SAGA 徳間書店 2017-02-05
[20] 문서
[21] 문서
[22] 웹사이트 Metropolis Movie Reviews https://www.rottento[...]
[23] 웹사이트 Metropolis https://www.rogerebe[...] 2002-01-25
[24] Webarchive goatdog's movies - Metropolis, 2001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